2022. 7. 22. 10:22ㆍ≪일반 산행지≫/영알(영축,신불산)
2016. 5. 14.(토)
어정쩡한 취미를 가진 사람은 등산이 취미듯이
이것도 저것도 아닌 종교를 가진 사람은 불교가 종교듯이
불교신자도 아닌 나는 오늘 부처님 오신날 만큼은 불교신자이다
부처님오신날을 맞이하여 뜻있는 등산을 해보고자 한다
그 뜻있는 산행이란 통도사 암자순례이다
통도사에 부속되어 있는 암자는 총 19개로 되어 있으나
그중에 포함되지 않은 4개 암자를 포함하여 1사23암자순례 입니다
신불산에서
통도사 암자순례도
통도사를 비롯하여 예속된 암자는 19개로 되어 있는데
통도사 부속암자도 아닌것 다 합치면 얼마나 많은지 나도 모르고 아무도 모름
아침일찍 시작하였는데 벌써부터 밀리기 시작한 차량행렬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암자순례 시작합니다
일빠따로
관음암 도착에 했습니다
특별히 구경할 것도 없고 서축암까지 빠르게 움직입니다
2번째로
19암자에 속하지 않은 홍련암 입니다
3번째로
보문암입니다
4번째로
무량암입니다
5번째로
문수선원 암자인지 모르지만 연등이 걸려 왔습니다
19암자 제외
6번째로
보현암입니다
여기도 19암자 제외
보현암 뒤 철조망 및 감시카메라를 살짝 넘어
축서암으로 갑니다
7번째로
축서암에 도착을 했습니다
법당공사가 한창이고요
떡하나 얻어
산신각 뒤로하여 영축산 정상으로 갑니다
고뢰쇠 받는 물탱크
담에 제발 철거하여 가져 갔는지 확인 해 보겠습니다
산에 집이 있으면 다 암자로 보입니다
취서정사 일단 제외 합니다
진달래와 암릉 그리고 맑은 하늘이 참 잘 어울립니다
정상에는 이제 막 봄이 온 듯 합니다
정상에는 아무도 안보이네요
일찍 시작했으니 시간도 많고
암자순례는 잠시 접어 두고 신불산 가본지도 오래 되었고
신불산까지 갔다오기로 합니다
신불산 가는길은
연등대신 꽃길이 안내를 합니다
정성스럽게 쌓아올린 돌탑
가을에는 억새로 남자가슴을 울리더니
봄에는 철쭉이 남자가슴을 울리는 구나
반가운 만나고
평소에 신불산에서 제일 걷고 싶지 않은 길
보폭이 맞지않아 항상 지랄같은 곳이 였는데
오늘만큼은 아니옵니다
진달래 피고 새가 올면 두고두고 그리운 사람이 생각납니다
신불산 가기전 신불재에서
내려가면 몇해전에 새로 지은 문수암으로 갑니다
8번째로
문수암에 왔습니다 스님은 어딜 가시고
다시 신불산으로 갑니다
신불산가면서 보는 풍경 독수리 비행하는 모습
신불산 정상 주변 풍경이고요
삐딱한 것 바로 세우는 중 입니다
공룡능선 방향
다시 영축산으로 갑니다
영축산으로 가면서
때깔좋은 연달래길을 걷고 또 걷고
우리네 인생길 이런길만 있으면 좋을련만
평상시 지랄개떡 같은 등산로였는데
오늘은 여기서 시간 소비를 다 하는 듯 합니다
내가가는 길은 곧 천국의 길이요
철쭉 다음에 연속으로 핀다하여 연달래
철쭉보다 연하게 핀다 하여 연달래
영축산 비행장을 지나
산에서 보기 힘든 철쭉입니다
지금까지 비단길 같은 길을 걸었으니
지금부터는 바위길로
손대면 톡하고 떨어질 듯 한 공깃돌
영축산의 풍경
함박등입니다
거대한 바위군 사이로 보는 함박등 모습입니다
부처바위
부처님오시날 모내기도 한참이고
절에 온 차량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주차장에 만차
군대생활 할때 통도사 뒷뜰에 농촌일손돕기 온 기억도 나고
함박등
그래도 천미터가 넘는 고봉
앙증맞은 정상석이 더 어울리네요
뒤돌아 본 영축산
부처바위
10년전만 하여도 곧 떨어질 듯 하였는데
아직도 그대로
함박재에서 다시 암자순례 모드로 갑니다
백운암 가기전 멋진 연리지소나무
연리지나무 사이로 보는 세상
참 편안하게 보입니다
대한독립만세 부르는 소나무
9번째로
통도사에서 제일 높은곳에 위치한 백운암에 도착했습니다
과일 한조각 얻어먹고 다음 암자 비로암으로 갑니다
10번째로
비로암에 왔습니다
절에 아무 도움도 안되는 나이기에 가는 곳 마다
오래 머물수 없고 별로 정이 안가는 곳이기에 바로 출발합니다
비로암은 정이 안가지만
바로 이 나무의 상처는
나를 지금까지 살아 있도록 도움을 준 것입니다
나도 수정초
노루발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부생 식물(腐生植物)로 음지의 낙엽 속에서 자란다. 덩어리 같은 뿌리에서 하얀 꽃줄기가 자라고 비늘 모양의 잎은 어긋나며 5~8월에 줄기 끝에 은백색 꽃이 하나씩 달린다.
우리나라,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Monotropastrum globosum이다
먹을수 있고 몸에 아주 좋다고 ㅎㅏ네요
11번째로
통도사 암자중에 좋아하는 곳 극락암 입니다
커피 한잔하고 다음코스 반야암으로
12번째 로
반야암에 왔습니다
비빔밥 한그릇 하는 동안
큰스님 눈물젖은두만강 5절까지 부릅니다
반야암에 이어 3암자를 연속으로 서축암, 금수암, 자장암 갑니다
13번째로
서축암에 도착을 했습니다
예전같지 않아 연등을 다는 신도가 없어 물한잔 얻어 마시기도 부담 갑니다
서축암 풍경
서축암을 빠져나와 금수암으로 가기전
노량창포 재배단지를 지나고
14번째 금수암으로 갑니다
14번째로
금수암에 왔습니다
통도사암자 중에 물맛이 제일좋은 지하암반수 입니다
금수암에서 다시 자장암으로 갑니다
자장암 가기전 자주색창포 단지를 지나고
15번째로
108계단을 올라 자장암에 왔습니다
오늘도 금개구린 없습니다
금개구린 백운암으로 출타중이랍니다
자장암은 신도가 많은지 북쩍거립니다
과일 한조각 얻어먹고 작은 고개 하나 넘어 사명암으로 갑니다
자장암 뒤 물탱크를 지나
쭉쭉빵빵 미스코리아 미인소나무를 지나
16번째 사명암, 17번째 백련암, 18번째 옥련암 까지 연속으로 갑니다
16번째로
사명암에 왔습니다
서운암에 있는 공작새 사명암으로 마실왔네요
공연한번 보여 주면 사랑 받을텐데 귀찮은 모양입니다
사명암 극락보전을 뒤로 하고
백련암으로 갑니다
17번째로
우리나라에서 제일 오래된 은행나무가 있는 백련암에 왔습니다
백련사 대웅전
암자에서 사로 승격되었네요
18번째로
옥련암에 왔습니다
서운암에 있는 공작새 여기서 공연중입니다
동물원 철창속에 있는 공작새 는
이렇게 공연 보여주기 쉽지 않으시죠
옥련암 대웅전 풍경
옥련암에서 다시 19번째 들꽃으로 유명한 서운암으로 갑니다
암자는 아니지만 장경각에 왔습니다
야생화 아팝나무 뒤로 본 영축산
여기는 노량,보라창포 군락지
19번째로
야생화로 유명한 서운암에 왔습니다
평소 잘 공연하지 않기로 유명한 서운암 공작새
오늘은 석가탄신일인지를 아는지
물오른 공연을 한참동안 이어집니다
서운암에서 양컷 쉬고 다시 마지막 남은 암자순례 이어 갑니다
남은암자는
수도암, 안양암, 취운암, 보타암 입니다
20번째로
수도암에 왔습니다
형제같이 다정한 형제송을 지나
안양암으로 갑니다
21번째로 안양암에 왔습니다
안양암 풍경
전망대에서 본 통도사 전경
22번째로
취운암에 왔습니다 이제 남은 곳은 보타암 입니다
23번째로
마지막 보타암 입니다
통도사 큰절에 가면 여러명이 먹는 곳이고 맛이 없을 것 같고
아담한 암자 보타암에서 비빔밥 한그릇으로 저녁을 떼우고자 합니다
24번째로
통도사 경내를 한바뀌 돌아 보고
야간 점등식 까지 보고 귀가 하기로 합니다
이상으로 1사23암자 순례를 마치며 열심히 순례를 해봤자
남는 것은 다리운동 했다는 것 밖에 없습니다
응진전 앞에 있는 호혈석
극락전 앞의 호혈석(호랑이 피가 있는 돌)
※산중의 왕 호랑이는 산신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마치 외호신처럼 사찰의 산신각에 등장한다. 그러나 산신신앙은 불전에는
근거가 없는 신앙으로 불교가 산악숭배의 토속신앙을 습합한 형태다. 하근기의 대중교화를 위한 한 방편으로 조선조부터 사찰에 산신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대웅전이나 극락전과 달라 「전(殿)」이라 부르지 않고 「각(閣)」이라 칭한다
금강계단
금강이란 금강보계(金剛寶戒)에서 유래된 말이므로 금강과 같이 보배로운 계(戒)란 의미가 있다. 불사리를 모신 금강계단에는 부처가 항상 그곳에 있다는 상징성을 띠고 있다.
불교에서는 일체의 것을 깨뜨릴 수 있는 가장 단단한 것을 금강이라 하고, 금강과 같은 반야(般若)의 지혜로 모든 번뇌를 물리칠 것을 강조한다. 그러한 지혜는 계(戒)·정(定)·혜(慧)의 삼학(三學)으로 성취될 수 있으며, 삼학 가운데 계율이 으뜸이고, 계를 금강과 같이 견고하게 보존하는 데는 불사리를 봉안한 곳이 으뜸이라는 뜻에서 금강계단이라고 하였다.
북쪽은 적멸보궁
석가모니불이 『화엄경』을 설한 중인도 마가다국 가야성의 남쪽 보리수 아래의 적멸도량(寂滅道場)을 뜻하는 전각으로, 불사리를 모심으로써 부처님이 항상 이곳에서 적멸의 낙을 누리고 있는 곳임을 상징한다.
따라서 진신인 사리를 모시고 있는 이 불전에는 따로 불상을 봉안하지 않고 불단(佛壇)만 있는 것이 특징이다. 불사리는 곧 법신불(法身佛)로서의 석가모니 진신이 상주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대신 적멸보궁의 바깥쪽에 사리탑을 세우거나 계단(戒壇)을 만들기도 한다.
서쪽은 대방광전
우리나라에는 불사리를 모신 곳이 많지만 그 중 대표적으로 5대 적멸보궁이 있다.
1.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영축산 통도사의 적멸보궁,
2.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오대산 중대(中臺)에 있는 적멸보궁,
3. 강원도 인제군 북면 용대리 설악산 봉정암(鳳頂庵)에 있는 적멸보궁,
4.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법흥리 사자산 법흥사(法興寺)에 있는 적멸보궁,
5. 강원도 정선군 동면 고한리 태백산 정암사(淨巖寺)의 적멸보궁 등이다.
남쪽은 금강계단
동쪽은 대웅전
통도사 경내 연리지 사이로 보는 세상
아마도 할머니와 손자 같은데 편안하게 보여 집니다
스님은 왠지 모르게 오늘따라 바쁘게 보여 지고요
6시가 되니 북치는 스님
평상시 보다 오늘은 북치는 것이 활기찹니다
박수가 자주 나오고요
7시에는 하천에서 점등식 있다고 하네요
이후 로는 그림으로 감상해보시길
'≪일반 산행지≫ > 영알(영축,신불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불산 등산코스 신불공룡, 간월공룡 그리고 천길능선에서 늦가을을 떠나 보내다 (0) | 2022.07.22 |
---|---|
짐승들과 함께 통도사 환종주 (0) | 2022.07.22 |
신불산등산코스 탈레이릿지-에베로릿지-쓰리랑릿지-신불릿지-아리랑릿지 (0) | 2022.07.21 |
영축산 등산코스 공룡바위(쥐바위),외송능선,삼형제봉, 병풍바위능선 (0) | 2022.07.21 |
영남알프스 등산코스 중에 탈레이릿지, 쓰리랑릿지, 아리랑릿지 (0) | 2022.07.20 |